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107건)

김창환-동몽교관 김창환 유허비
광주시 광산구 신촌동 975-3번지1910년(순종4년)이 김창환유허비(金昌煥遺墟碑)는 동몽교관(童蒙敎官)으로 조봉대부(朝奉大夫)를 지낸 김창환 선생의 비이다. 전통시대에 효행을 실천한 선비의 유허비로 효행정신의 선양과 후대의 추숭활동을 알 수 있어 제도사와 향토사적 의의가 있다.아원표출이창대부(我願表
봉산사 묘정비
서구 용두동 산 79(봉산사)봉산사 묘정비鳳山祠廟庭碑는 현와弦窩 고광선高光善(1855~1934)의 위패를 모시는 사당의 건립 취지와 그 사당의 주인, 곧 주벽主壁으로 모시는 인물에 대한 추앙의 문장 등이 적혀 있다. 1976년에 묘정비를 세워 기록을 남겼다.전 성균관장 영가永嘉 권중해權重海가 글을 지었고 덕양德陽 기영
김홍두
김홍두金弘斗(1879~1933)의 아호는 악포樂浦이며 서창면 용두리 155, 학동마을에서 출생한 독립운동가이다. 고향 서당에서 글을 배운 후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에게 본격적으로 공부하여 남달리 애국심이 강하였다. 1910년 강제로 국권이 강탈되자 독립운동을 결심하고, 1913년 경상북도 풍기에서 채기중蔡祺中, 한훈韓焄,
지응현
지응현池應鉉(1869~1959)은 농업만이 나라를 부강하게 하는 방법이라고 믿고 농업학교 건립, 농업 투자 등 근대 전라도 농업의 좌표를 세운 인물이다.본관은 충주이며 자는 형숙亨淑, 호는 붕남鵬南이다. 기우만奇宇萬(1846~1916)의 항일의거 때 군량을 조달하였고, 병천사를 세웠다. 1934년 응세농도학원을 설립하여 교육에
영모재1
서구 서쪽 30리영모재永慕齋는 『광주읍지』(1924)에 주의 서쪽 30리인 조교동造橋洞에 있다고 했다. 진사 둔암遯庵 김덕일金德鎰 및 참의 소천素泉 김성도金成道가 건립했다.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1836~1905)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1846~1916)의 기문을 비롯하여 교리 이병관李炳觀(1858~ ?), 진사 임원철林源喆의 차운
돈의당
서구 금호만호길 45-5돈의당敦義堂은 이희범李喜範 이재범李在範 형제가 우의를 이어 받기 위해 이희범의 아들 이회춘 등이 1935년 앞면 2칸 옆면 1칸의 무실대청으로 일신당 앞에 있는 효정자이다. 이들은 부모를 일찍 여의고 어려운 살림에 토지를 희사하며 우의를 다지며 돈의계敦義契를 만들었고 계의 자산을 문중으로
봉암대
서구 용두동 (봉학마을)서강처사瑞岡處士 팔봉八峰 한기와韓基窩가 지었다고 한다. 그는 전남 영광군 홍농면 칠곡리 칠암, 홍농산 홍문동 홍문폭포虹門瀑布가 있는 곳에 홍문취헌虹門翠軒에서 송사 기우만 등과 학문을 논하며 지냈던 인물로 구한말 지식인이었다.봉암대鳳巖臺, 한기와가 읊은 시만 전하고 있다.높은 산등성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